박일상의 일상기록

링거 공기 주입 등 링겔 주사 부작용이 있을까? 본문

건강일기

링거 공기 주입 등 링겔 주사 부작용이 있을까?

박일상 2025. 1. 22. 23:19
반응형

병원에서 조금 자주 수액을 맞는 편인데 링거 공기 주입이 되면 죽는다는? 그런 이야기를 친구한테 듣고 놀라서 링겔 주사 부작용이 있는지 알아보게 되었어요! 일단 결론만 말하자면 링거 공기 주입이 빠른시간에 많은 양이 되면 위험하지만, 맞으면서 자연스럽게 들어가는 기포 등은 폐에서 걸러진다는 이야기도 있고, 문제가 없다는 말이 더 많은 것 같아요. 하지만 종종 2팩씩 맞고 할때 생각해보면 간호사선생님들이 오셔서 공기를 빼고 넣어주시고 했기 떄문에 몸에 들어갔을때 큰 문제는 없더라도 왠만하면 같이 안들어가는게 나은 것 같더라구요. 그런 의미에서 알아본 링겔 주사 부작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전해질 불균형

대표적인 전해질 불균형으로는 고나트륨혈증(hypernatremia)과 저칼륨혈증(hypokalemia)이 있습니다. 

고나트륨혈증은 혈액 내 나트륨 농도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높아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링겔 주사액이 포함하고 있는 나트륨 성분이 과다 투여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나트륨혈증은 탈수, 설사, 구토 등으로 인한 수분 및 전해질 손실이 있는 환자에게서 더 흔히 나타납니다. 고나트륨혈증은 신경계 증상, 근육경련, 혼란,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뇌부종, 신장 손상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한편 저칼륨혈증은 혈액 내 칼륨 농도가 낮아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칼륨은 세포 내 중요한 전해질로, 신경 및 근육 기능에 필수적입니다. 링겔 주사액에는 칼륨 성분이 없거나 매우 적어, 장기간 투여 시 저칼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칼륨혈증은 근육 쇠약, 부정맥, 심장 기능 저하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2. 과부하
체액 과부하를 초래하여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부종과 호흡곤란이 있습니다.

부종은 과다한 수분 섭취로 인해 체내 수분량이 증가하여 조직 내 삼출액이 축적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링겔 주사액에는 나트륨, 칼륨, 염소 등의 전해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이 과다 투여되면 체액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 특히 심장, 신장, 간 등의 장기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체액 과부하에 더욱 취약합니다.

부종이 심해지면 호흡곤란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수분 축적으로 인해 폐 조직에 압박이 가해져 호흡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특히 심부전 환자나 만성 폐질환 환자에게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 호흡곤란은 숨가쁨, 흉부 불편감, 수면 장애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심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3. 감염 위험 증가
주사기와 주사액 자체가 오염될 경우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주사 부위의 피부 손상으로 인한 감염 위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번의 주사가 문제가 있다면 발생하겠지만은, 아무래도 많이 맞다보면 오염을 접할 확률이 비교적으로 높아서 이것도 포함되는 듯 합니다.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나 중환자의 경우 감염에 취약합니다. 이들은 기저 질환으로 인해 이미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어, 링겔 주사액의 과다 투여로 인한 추가적인 스트레스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정맥염과 혈류감염이 대표적이고, 염증이 생기면 통증, 발적,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주사 기술의 미숙이나 주사액의 화학적 자극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혈류감염은 주사액 내 세균이 혈류로 유입되어 전신 감염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이는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데, 패혈증, 패혈성 쇼크, 다장기부전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특히 중환자실 환자의 경우 카테터 관련 혈류감염의 위험이 높아, 사망률이 20-50%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

4. 정맥염 위험 증가
링겔 주사액의 과다 사용은 정맥염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정맥염은 주사 부위의 정맥이 염증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주사 기술의 미숙, 주사액의 화학적 자극, 감염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주사액에는 나트륨, 칼륨, 칼슘 등의 전해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이 과다 투여되면 혈관 내 삼투압 변화로 인해 혈관 벽이 자극받게 됩니다 . 특히 말초 정맥을 통해 링겔 주사액을 투여할 경우, 혈관 자극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정맥염의 주요 증상으로는 주사 부위의 통증, 발적, 부종, 열감 등이 있습니다. 심한 경우 혈전 형성으로 인한 정맥폐색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증상은 환자의 불편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감염 위험을 높이고 치료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링겔 주사 부작용이 더 많긴 하지만 알아봤을때 이정도가 조금 대중적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혈전이라던가, 링거 공기 주입으로 큰 일이 생긴다거나 하는 일은 좀 많이 드문 케이스인것 같긴하지만, 그래도 발생하곤 하니 주의하는게 좋을 것 같아요! 오른팔에 항상 맞는데 오늘따라 조금 욱신거려서 찾아봤답니다! 건강합시다~!

반응형